Blittable 타입 vs Non-Blittable 타입

.NET에서 마샬링을 수행할 때, 데이터 타입에 따라 성능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Blittable 타입과 Non-Blittable 타입의 차이에서 기인합니다. Blittable 타입은 마샬링이 매우 빠르고 효율적이지만, Non-Blittable 타입은 추가적인 변환이 필요해 성능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두 타입의 차이를 살펴보고,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합니다.

Blittable 타입

Blittable 타입은 메모리 상에서 동일한 방식으로 표현되기 때문에 마샬링 시에 별도의 변환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다시 말해, Blittable 타입은 C#의 매니지드 코드와 언매니지드 코드 간에 메모리 구조가 동일하기 때문에 바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성능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매우 효율적인 마샬링을 제공합니다. 대표적인 Blittable 타입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int, float, double 같은 기본 데이터 타입
  • IntPtr, UIntPtr 같은 포인터 타입
  • 구조체가 Blittable 타입만으로 구성된 경우 Blittable 타입을 사용하면 성능 비용 없이 직접적으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성능이 중요한 상황에서는 가능한 Blittable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Blittable 타입을 포함한 구조체 예시입니다: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ublic struct BlittableStruct
{
    public int x;
    public float y;
}

이 구조체는 Blittable 타입만으로 구성되어 있어 마샬링 시에 별도의 변환 없이 바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Non-Blittable 타입

Non-Blittable 타입은 마샬링 시에 추가적인 변환 작업이 필요합니다. 매니지드 코드와 언매니지드 코드 간에 메모리 상에서 데이터가 다르게 표현되기 때문에, 데이터를 변환하여 맞춰주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이 변환 과정에서 성능 비용이 발생하며, 마샬링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Non-Blittable 타입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string과 같은 참조 타입
  • bool (매니지드 환경에서 크기가 1바이트, 언매니지드에서는 4바이트로 표현됨)
  • 배열 (특히 참조 타입을 포함한 배열)
  • Blittable 타입이 아닌 멤버를 포함한 구조체 Non-Blittable 타입은 성능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Non-Blittable 타입을 반드시 사용해야 하는 경우, 이를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마샬링 전략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 구조체는 Non-Blittable 타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ublic struct NonBlittableStruct
{
    public int x;
    public string y; // string은 Non-Blittable 타입
}

이 구조체는 string 타입을 포함하고 있어, 마샬링 시에 메모리 복사 및 변환이 필요합니다.

Blittable 타입 사용의 장점

Blittable 타입을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성능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빠른 마샬링: 변환 없이 메모리를 바로 전달할 수 있어 성능 비용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 낮은 메모리 사용량: 메모리 복사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메모리 사용량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더 간단한 코드: 별도의 마샬링 코드를 작성할 필요가 없어 코드가 단순해집니다. Blittable 타입을 사용하면 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성능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에서는 Blittable 타입으로만 구성된 데이터 구조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Non-Blittable 타입을 사용할 때의 고려 사항

Non-Blittable 타입을 사용할 경우, 성능 최적화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전략을 고려해야 합니다:

  • 마샬링을 최소화: Non-Blittable 타입을 포함한 데이터는 빈번하게 마샬링하지 않고, 한 번에 처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캐싱 사용: 마샬링된 데이터를 캐싱하여 동일한 데이터를 반복적으로 변환하는 일을 줄일 수 있습니다.
  • 구조체 분리: Blittable 타입과 Non-Blittable 타입을 분리하여, Blittable 타입만 자주 마샬링하고 Non-Blittable 타입은 별도로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Non-Blittable 타입을 사용해야 하는 상황에서는 이러한 최적화 전략을 통해 성능 저하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결론

Blittable 타입과 Non-Blittable 타입의 차이는 마샬링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Blittable 타입은 추가적인 변환이 필요 없기 때문에 성능이 뛰어나지만, Non-Blittable 타입은 마샬링 시 성능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성능이 중요한 상황에서는 가능한 Blittable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 좋으며, Non-Blittable 타입을 사용해야 할 경우에는 최적화 전략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