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cfx 관리 단위

DocFX를 솔루션 단위로 관리할지,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할지에 대한 고민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Git 단위로 솔루션을 관리하는 것이 좋기 때문에, DocFX도 솔루션 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두 가지 관리 방식

프로젝트 단위로 DocFX 관리

각 프로젝트 별로 DocFX를 설정하고 문서를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 각 프로젝트의 문서를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 프로젝트 단위의 독립성이 높아집니다.
  • 특정 프로젝트만 문서화를 필요로 할 경우 효율적입니다.

단점

  • 다수의 프로젝트가 있는 경우, 각 프로젝트마다 DocFX 설정을 관리해야 하므로 중복 작업이 발생합니다.
  • 문서화 설정을 여러 프로젝트에 걸쳐 일관성 있게 유지하기 어렵습니다.
  • 전체적인 문서 관리를 위한 통합적인 뷰를 제공하기 어렵습니다.

솔루션 단위로 DocFX 관리

솔루션 전체에 대해 DocFX를 설정하고 문서를 관리하는 방식입니다.

장점

  • 솔루션 내 모든 프로젝트의 문서를 한 곳에서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설정 파일이 하나이기 때문에 관리가 용이합니다.
  • 전체적인 문서화 관리를 위한 통합적인 뷰를 제공합니다.
  • CI/CD 파이프라인에서 문서화를 일관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

  • 모든 프로젝트의 문서를 포함하기 때문에, 프로젝트별로 독립적인 문서 관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솔루션 내의 모든 프로젝트가 문서화 대상이 되어야 합니다.

Git 단위로 솔루션을 관리하는 이유

중앙 집중화된 관리

  • Git 리포지토리 단위로 솔루션을 관리하면, 모든 프로젝트와 관련된 소스 코드, 문서화, 설정 파일 등을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습니다.
  • 이는 코드 변경 사항을 추적하고, 프로젝트 간 의존성을 관리하는 데 유리합니다.

일관성

  • 솔루션 단위로 관리하면, 모든 프로젝트에 대해 일관된 개발 및 배포 파이프라인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 문서화도 예외가 아니므로, DocFX를 솔루션 단위로 관리하면 문서화 설정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효율성

  • 하나의 리포지토리에서 모든 것을 관리하면, 변경 사항이 발생했을 때 효율적으로 CI/CD 파이프라인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 각각의 프로젝트에서 독립적으로 문서를 빌드하고 배포하는 대신, 전체 솔루션을 대상으로 문서를 빌드하고 배포할 수 있습니다.

결론

DocFX를 솔루션 단위로 관리하는 것이 더 효율적입니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중앙 집중화된 관리로 모든 프로젝트의 문서를 한 곳에서 일관성 있게 관리할 수 있습니다.
  • Git 리포지토리 단위로 솔루션을 관리하면 코드 변경 사항과 문서화를 일관되게 추적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 CI/CD 파이프라인에서 일관된 문서화를 적용하여 효율적인 빌드 및 배포 프로세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