캡슐화

캡슐화란?

캡슐화Encapsulation는 데이터와 메서드를 하나의 단위로 묶어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개념입니다. 캡슐화를 통해 객체 내부의 데이터를 직접적으로 접근하지 못하게 하고, 메서드를 통해서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객체 간 상호작용을 명확하게 정의하고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캡슐화는 복잡성을 관리하고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여 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캡슐화의 목적과 장점

캡슐화는 데이터 보호와 코드의 구조화를 통해 코드의 복잡성을 줄이고 유지보수성을 높입니다. 이를 통해 독립적인 모듈로 설계된 객체는 재사용성과 보안성을 높이게 됩니다.

데이터 보호와 무결성 유지

캡슐화는 객체 내부 데이터를 보호하여, 외부에서의 직접적인 데이터 변조를 방지하고 무결성을 유지합니다.

public class Book
{
    private string title;
    private string author;
    public Book(string title, string author)
    {
        this.title = title;
        this.author = author;
    }
    public string GetTitle() => title;
    public string GetAuthor() => author;
}
  • titleauthor 필드는 private로 선언되어 외부에서 접근할 수 없으며, 이를 메서드로만 읽을 수 있습니다.

코드 유지보수성 향상

캡슐화는 객체의 내부 구현을 외부에 드러내지 않음으로써, 내부 로직을 변경하더라도 외부 코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합니다. 이는 코드의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하고, 시스템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하거나 기존 기능을 수정할 때 오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복잡성 관리

캡슐화를 통해 객체의 내부 복잡성을 숨기고, 외부에는 단순한 인터페이스만을 노출함으로써 시스템의 전체적인 복잡성을 줄입니다. 이는 개발자들이 시스템을 이해하고 사용하는 데 필요한 노력을 줄여주며, 코드의 가독성과 이해도를 높여줍니다.

코드 재사용성 증가

캡슐화된 객체는 독립적인 모듈로 설계되므로, 다른 시스템에서도 쉽게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LibraryMember
{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memberId;
    public LibraryMember(string name, string memberId)
    {
        this.name = name;
        this.memberId = memberId;
    }
    public string GetName() => name;
    public string GetMemberId() => memberId;
}
  • LibraryMember 클래스는 도서관의 다양한 시스템에서 회원 관리 기능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보안성 강화

중요한 데이터에 대한 접근을 제한하여, 외부에서의 불필요한 접근이나 변경으로부터 객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시스템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LibraryMember
{
    private string password;
    public LibraryMember(string initialPassword)
    {
        // 비밀번호 암호화
        password = EncryptPassword(initialPassword);
    }
    private string EncryptPassword(string password)
    {
        // 암호화 로직 (간단히 표현)
        => Convert.ToBase64String(System.Text.Encoding.UTF8.GetBytes(password));
    }
    public bool VerifyPassword(string inputPassword)
        => password == EncryptPassword(inputPassword);
}
  • 위 예제에서는 LibraryMember 클래스에서 비밀번호를 직접 노출하지 않고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하는 예시를 통해 캡슐화가 어떻게 보안성을 강화하는지 보여줍니다.

테스트 용이성

캡슐화는 객체를 독립된 단위로 만들어 테스트하기 쉽게 만듭니다. 모듈화된 객체는 다른 객체와의 상호작용 없이 개별적으로 테스트할 수 있어, 테스트의 정확성과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객체의 내부 구현이 변경되더라도, 외부에 제공되는 인터페이스가 유지되면 기존의 테스트 코드를 재사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 비용이 줄어듭니다. 이와 같은 목적과 장점들을 통해, 캡슐화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 보호와 코드 구조화의 중요한 원칙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안정적이고 유지보수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캡슐화의 구현 방법

캡슐화는 주로 접근 제한자Access Modifiers를 사용하여 구현됩니다. .NET에서는 public, private, protected, internal과 같은 접근 제한자를 통해 클래스 멤버의 접근 범위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Library
{
    private List<Book> books = new List<Book>();
    public void AddBook(Book book)
    {
        books.Add(book);
    }
    public Book GetBook(string title)
    {
        return books.Find(b => b.GetTitle() == title);
    }
}
  • 위 예제에서 books 리스트는 private으로 설정되어 외부에서 직접 접근할 수 없고, 메서드를 통해서만 책을 추가하거나 검색할 수 있습니다.

.NET에서의 캡슐화

.NET에서는 속성Property 개념을 활용하여 필드에 대한 접근을 더 간단하게 캡슐화할 수 있습니다. 속성은 필드에 대한 접근을 제어하고, 데이터 검증 로직을 포함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public class BankAccount
{
    private decimal balance;
    // 속성을 통해 balance 필드를 캡슐화
    public decimal Balance
    {
        get => balance;
        private set 
        { 
            if (value >= 0)
            {
                balance = value;
            }
        }
    }
    public void Deposit(decimal amount)
    {
        if (amount > 0)
        {
            Balance += amount;
        }
    }
}

캡슐화와 정보 은닉

캡슐화와 정보 은닉은 종종 같은 의미로 사용되지만,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정보 은닉은 객체의 불필요한 내부 세부 사항을 숨기고, 중요한 정보만 외부에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캡슐화는 이러한 정보 은닉을 구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데이터와 메서드를 하나의 단위로 묶고, 접근 제한자를 통해 이를 보호하는 것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모듈화 설계의 정보 은닉과 경계 설정 파트를 참조하세요. 위 코드에서는 Balance 속성을 사용하여 balance 필드를 캡슐화했으며, private set 접근자를 통해 외부에서의 수정을 제한하고 있습니다.

다른 원칙과의 관계

캡슐화와 상속

상속은 기존 클래스(부모 클래스)의 속성과 메서드를 새로운 클래스(자식 클래스)로 물려받는 메커니즘입니다. 상속과 캡슐화는 서로 보완적입니다. 캡슐화를 통해 부모 클래스의 내부 구현을 보호하면서, 상속을 통해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의 공통된 기능을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상속은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지만, 캡슐화 덕분에 부모 클래스의 변경이 자식 클래스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캡슐화와 다형성

다형성은 동일한 인터페이스나 부모 클래스를 통해 다양한 파생 클래스가 다른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캡슐화는 다형성 구현의 기반이 됩니다. 객체가 외부에 노출하는 메서드(인터페이스)를 통해서만 상호작용하도록 하여, 다양한 객체들이 동일한 메서드를 호출하더라도 각각의 구체적인 동작은 캡슐화된 내부에서 처리됩니다. 이는 코드의 유연성을 높이고, 다양한 객체를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할 수 있게 합니다.

캡슐화와 추상화

추상화는 복잡한 시스템에서 필요한 핵심 기능만을 노출하고, 세부 사항을 숨기는 과정입니다. 추상화는 캡슐화를 통해 구현됩니다. 캡슐화를 통해 객체의 내부 구현을 감추고, 외부에는 추상화된 인터페이스만을 제공하여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단순화합니다. 추상화와 캡슐화는 함께 사용되어, 복잡한 시스템을 보다 간결하고 이해하기 쉽게 만들며,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SOLID 원칙과의 연계

SOLID 원칙은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기본 원칙으로, 소프트웨어의 유연성과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키는 데 중점을 둡니다. 캡슐화는 SOLID 원칙 중 몇 가지와 밀접한 연관이 있습니다.

캡슐화와 단일 책임 원칙

단일 책임 원칙SRP은 클래스나 모듈이 하나의 책임만 가지며, 변경이 있을 경우 그 책임에 관련된 이유로만 변경되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캡슐화는 SRP를 실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캡슐화를 통해 클래스가 자신의 책임에만 집중하도록 하고, 그 외의 부분은 외부에 숨기도록 하여 클래스가 하나의 책임만 갖도록 설계할 수 있습니다.

캡슐화와 개방_폐쇄 원칙

개방/폐쇄 원칙OCP은 소프트웨어 개체가 확장에는 열려 있어야 하지만, 변경에는 닫혀 있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캡슐화는 OCP를 지원합니다. 클래스의 내부 구현을 캡슐화하여 외부로부터 보호함으로써, 새로운 기능을 추가할 때 기존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확장할 수 있게 됩니다. 이는 코드의 안정성과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public class Book
{
    public string Title { get; private set; }
    public string Author { get; private set; }
    // 캡슐화 덕분에 내부 데이터를 외부에서 변경하지 못하게 함
    public Book(string title, string author)
    {
        Title = title;
        Author = author;
    }
}
public class SpecialEditionBook : Book
{
    public string Edition { get; private set; }
    public SpecialEditionBook(string title, string author, string edition) 
        : base(title, author)
    {
        Edition = edition;
    }
}
  • 위 예제에서는 Book 클래스는 기존의 코드를 변경하지 않고도 SpecialEditionBook 클래스가 확장되어 개방-폐쇄 원칙을 충족함을 보여줍니다.

캡슐화와 리스코프 치환 원칙

리스코프 치환 원칙LSP은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를 대체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입니다. 캡슐화는 이 원칙을 준수하도록 돕습니다. 부모 클래스의 인터페이스를 캡슐화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자식 클래스가 부모 클래스를 대체할 때도 일관된 동작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캡슐화와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ISP은 클라이언트가 자신이 사용하지 않는 메서드에 의존하지 않도록 인터페이스를 분리하라는 원칙입니다. 캡슐화는 필요한 인터페이스만을 외부에 제공함으로써 이 원칙을 지원합니다. 캡슐화를 통해 불필요한 메서드나 데이터를 외부에 노출하지 않고, 객체가 필요한 기능만 사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캡슐화와 의존 역전 원칙

의존 역전 원칙DIP은 고수준 모듈이 저수준 모듈에 의존하지 않도록 하고, 추상화된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도록 하는 원칙입니다. 캡슐화는 DIP를 강화합니다. 내부 구현을 캡슐화하고 추상화된 인터페이스만을 외부에 제공하여, 의존성을 역전시키고 고수준 모듈이 저수준 구현 세부 사항에 의존하지 않도록 합니다.

캡슐화의 한계

복잡성 증가

과도한 캡슐화는 코드의 복잡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필요 이상으로 캡슐화된 객체는 접근성이 떨어지고, 객체 간 상호작용이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수준에서 캡슐화를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public class Library
{
    private List<Book> books = new List<Book>();
    public void AddBook(Book book)
    {
        // 너무 복잡한 검증 로직 추가로 코드 가독성 저하
        if (!string.IsNullOrEmpty(book.Title) && book.Author != null)
        {
            books.Add(book);
        }
    }
    public Book FindBookByTitle(string title) => books.Find(b => b.Title == title);
    // 필요 이상으로 감춘 메서드, 캡슐화의 과도한 적용으로 인한 불편함
    private void SortBooks()
    {
        books.Sort((b1, b2) => b1.Title.CompareTo(b2.Title));
    }
}
  • 위 예제는 SortBooks 메서드가 외부에 필요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캡슐화가 과도하게 적용되어 코드 사용의 불편함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성능 저하

캡슐화로 인해 발생하는 메서드 호출이나 데이터 검증 로직은 성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성능이 중요한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오버헤드를 고려하여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맺음말

캡슐화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에서 데이터 보호와 코드 구조화의 핵심 요소로, 데이터의 무결성을 유지하고 시스템의 복잡성을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대규모 시스템에서 캡슐화의 효과가 더 두드러지며, 잘 설계된 캡슐화는 코드의 복잡성을 크게 줄이고, 유지보수를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NET 환경에서는 접근 제한자와 속성Property을 사용하여 효과적으로 캡슐화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보다 견고하고 유연한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