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자인 패턴과 아키텍처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과 아키텍처Architecture는 모두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중요한 개념이지만, 그 목적과 적용 범위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개념과 정의
디자인 패턴Design Pattern
디자인 패턴은 특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검증된 설계 방식 또는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이는 소프트웨어 설계에서 자주 반복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솔루션 템플릿으로, 특정 컨텍스트에서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자인 패턴은 클래스 간의 관계나 객체의 구조 및 행동을 정의하는 수준에서 사용됩니다. 대표적인 예로 Singleton, Factory Method, Observer 패턴 등이 있습니다.
아키텍처Architecture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전체의 구조와 설계를 정의합니다.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며, 시스템이 전반적으로 어떻게 구성되고 작동할지를 다룹니다. 이는 주로 시스템 전반에 걸친 고수준 설계에 집중하며, 성능, 확장성, 유지보수성 등을 고려합니다.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아키텍처로는 계층형 아키텍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 헥사고날 아키텍처 등이 있습니다.
적용 범위와 수준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 개발의 로우 레벨low-level 설계에 해당합니다. 이는 클래스 또는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최적화하거나, 특정 기능을 구현하는 방법을 제안합니다. 디자인 패턴은 소프트웨어의 작은 부분을 개선하고, 코드 재사용성을 높이는 데 집중합니다. 예를 들어, Observer 패턴은 이벤트와 관련된 객체 간의 상호작용 방식을 정의하는 반면, Factory Method 패턴은 객체 생성 로직을 캡슐화하는 데 사용됩니다.
아키텍처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하이 레벨high-level 설계를 다룹니다. 이는 시스템의 주요 구성 요소, 모듈, 데이터 흐름, 인터페이스 등을 정의하며, 소프트웨어가 운영되는 방식, 확장성, 유지보수성 등을 고려합니다. 아키텍처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구조와 흐름을 결정하는 것으로, 시스템 전체의 개발, 확장, 배포 방식에 영향을 미칩니다.
사용 목적과 목표
디자인 패턴
디자인 패턴의 목적은 특정 설계 문제를 해결하고, 객체 간의 상호작용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입니다. 디자인 패턴은 주로 코드 수준에서 재사용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Singleton 패턴은 전역적으로 접근 가능한 인스턴스를 하나만 생성하는 문제를 해결합니다.
아키텍처
아키텍처의 목적은 시스템 전체의 구조를 정의하고, 성능, 확장성, 유지보수성, 복잡성을 관리하는 것입니다. 시스템이 어떻게 서로 상호작용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며, 요구 사항에 맞게 확장할 수 있을지를 고려합니다.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한 작은 서비스들을 구성하여 확장성과 복잡성 관리에 중점을 둡니다.
구체적인 예
디자인 패턴
Observer 패턴은 특정 객체의 상태가 변할 때 관련된 다른 객체들에 자동으로 변경 사항을 알리는 구조를 제안합니다. 이는 주로 GUI 응용 프로그램에서 이벤트 처리를 위해 사용됩니다.
아키텍처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는 큰 시스템을 작은 독립적인 서비스들로 나누어 각각을 별도로 개발, 배포, 관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시스템의 확장성과 유지보수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연결성
디자인 패턴과 아키텍처는 상호 보완적입니다. 디자인 패턴은 시스템의 구성 요소 내부에서 일어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중점을 두며, 아키텍처는 시스템이 어떻게 구성되고 상호작용 할 지를 결정합니다. 즉, 아키텍처는 큰 그림을 그리고, 그 안에서 디자인 패턴을 통해 구체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두 개념이 함께 사용됩니다.
맺음말
디자인 패턴이 소프트웨어 설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재사용 가능한 작은 솔루션이라면, 아키텍처는 소프트웨어 시스템 전체의 구조와 상호작용을 정의하는 고수준 설계입니다. 디자인 패턴이 소프트웨어 시스템의 작은 부분을 최적화하는 반면, 아키텍처는 시스템 전체의 구조를 다루며, 이 둘은 서로 다른 수준에서 설계 문제를 해결합니다.